본문 바로가기

재무회계

금융리스, 운용리스 구분 및 차이점, 인식조건 정리

금융리스는 자산 및 부채를 동시에 계상하고, 감가상각을 계상하여야 한다.

 

운용리스는 자산 및 부채가 계상되지 않으며, 리스료는 비용처리한다.

 

*결국 세무적 관점에서는 금융리스는 이자비용+감가상각비로, 운용리스는 리스수수료로 둘다 손금인정 받게된다.

금융리스 인식 조건 (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금융리스로 처리(자산/부채 동시 인식)
1. 소유권이전 조항 유무
2. 리스자산 염가구매 선택권 유무
3. 리스기간이 내용연수의 75% 이상인지 유무
4. 리스료가 공정가액의 90% 이상인지 유무

 

<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차이점>

1. 중도해지: 금융리스는 리스기간 중 중도해지가 금지, 운용리스는 중도해지 가능

2. 유지보수 부담 주체: 금융리스의 경우 리스이용자가 부담, 운용리스의 경우 리스사가 부담

3. 회계처리 방식: 금융리스는 부채가 함계 계상되어 재무비율이 좋아지지 않을 수도 있다

4. 범용성: 금융리스자산은 범용성이 낮은 경우가 많지만, 운용리스는 범용성이 크고 재리스 및 매각이 용이

5. 매각시 잔존가치: 금융리스의 경우 리스기간 사용후 매각할 때에 시장거래가격이 장부상 잔존가치보다 높은 경우 유리,

    운용리스의 경우는 미래 시장가와 관계없이 현재시점에 가치가 고정되어 있음.

 

출처: https://freedomcpa.tistory.com/7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