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리스는 자산 및 부채를 동시에 계상하고, 감가상각을 계상하여야 한다.
운용리스는 자산 및 부채가 계상되지 않으며, 리스료는 비용처리한다.
*결국 세무적 관점에서는 금융리스는 이자비용+감가상각비로, 운용리스는 리스수수료로 둘다 손금인정 받게된다.
금융리스 인식 조건 (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금융리스로 처리(자산/부채 동시 인식)
1. 소유권이전 조항 유무
2. 리스자산 염가구매 선택권 유무
3. 리스기간이 내용연수의 75% 이상인지 유무
4. 리스료가 공정가액의 90% 이상인지 유무
<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차이점>
1. 중도해지: 금융리스는 리스기간 중 중도해지가 금지, 운용리스는 중도해지 가능
2. 유지보수 부담 주체: 금융리스의 경우 리스이용자가 부담, 운용리스의 경우 리스사가 부담
3. 회계처리 방식: 금융리스는 부채가 함계 계상되어 재무비율이 좋아지지 않을 수도 있다
4. 범용성: 금융리스자산은 범용성이 낮은 경우가 많지만, 운용리스는 범용성이 크고 재리스 및 매각이 용이
5. 매각시 잔존가치: 금융리스의 경우 리스기간 사용후 매각할 때에 시장거래가격이 장부상 잔존가치보다 높은 경우 유리,
운용리스의 경우는 미래 시장가와 관계없이 현재시점에 가치가 고정되어 있음.
'재무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결제형 주식선택권 보상원가 처리방법 (해고시 보상원가 환입, 소멸시에는 자본잉여금대체(환입X)) (1) | 2023.12.02 |
---|---|
증분차입이자율 정의, 실무 적용방법 설명 (이자율 구하기_공모사채이자율 등) (0) | 2023.12.02 |
건설계약 (기업회계기준서 제1011호) - 손실 즉시 비용인식의 경우 (2) | 2023.12.02 |
유형자산의 복구원가 (부채인식요건 충족시 지출의PV, 원가에 포함) (1) | 2023.12.02 |
정부보조금의 회계처리 원칙 (2) | 2023.1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