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재무회계

법인세회계 (의의, 용어) - 이연법인세자산, 부채 / 계산, 평가, 표시 및 공시 방법 핵심 요약 / 비유동, 현재가치평X

1. 의의와 용어 정리

1-1. 의의: 한 회계기간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나타날 법인세비용과, 재무상태표에 나타날 법인세 관련 자산과 부채를 확정하는 과정

1-2. 용어 정리

회계이익(손실) 법인세비용 차감 전 회계기간의 손익
과세소득(세무상결손금) 법인세 산출 대상 회계기간의 이익
세무기준액 세무회계상의 자산과 부채의 가액
일시적 차이 1. 재무상태표상 장부금액과 세무회계상 세무기준액과의 차이
2. 가산할 일시적 차이 (세무상 마이너스(△) 유보와 유사)
  - 미래 기간 과세소득 증가 효과를 가지는 일시적 차이
  - 이연법인세부채를 발생
3. 차감할 일시적 차이 (세무상 유보와 유사)
  - 미래 기간 과세소득 감소 효과를 가지는 일시적 차이
  - 이연법인세자산을 발생

 

2. 이연법인세자산, 이연법인세부채

2-1. 이연법인세자산

의의 차감할일시적차이, 미래 법인세 부담을 감소시킴
인식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 자산을 인식.
측정 실현가능한 차감할 일시적차이 X 소멸되는 회계연도 평균세율
검토 매 보고기간 말에 이연법인세자산의 자산성 검토
미사용결손금, 미사용세액공제 이연법인세 자산으로 인식

2-2. 이연법인세부채

의의 가산할일시적차이가 발생하면 미래과세소득 증가,
미래과세소득 증가로 미래 법인세가 증가하여 이연법인세부채 계상
인식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지 않고 바로 부채로 인식.
측정 가산할 일시적 차이 X 소멸되는 회계연도의 평균세율

*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경우에만 자산으로 인식하는 반면, 이연법인세부채는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지 않고 바로 부채로 인식한다.

*소멸되는 회계연도의 평균세율로 실현가능한 차감할 일시적 차이와 가산할 일시적 차이를 측정한다.

2-3. 이연법인세자산, 부채의 당기변동액 계산

당기변동액  = 당기 말 이연법인세자산(부채) - 전기 말 이연법인세자산(부채)

3. 기타 고려사항

3-1. 법인세비용의 계산

법인세비용 = 당기법인세 +- 이연법인세자산(부채)의 변동액

3-2. 현재가치평가: 이연법인세자산, 부채는 현재가치로 평가하지 않는다. (현재가치 평가 배제)

3-3. 재무제표의 표시와 공시

유동, 비유동의 구분 (비유동) 이연법인세자산(부채)은 재무상태표에 비유동항목으로 분류
자산과 부채의 상계표시 1.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계 가능
2. 당기법인세자산, 부채의 상계 요건
  - 상계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
  -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음
3. 이연법인세자산, 부채의 상계 요건
  - 상계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
  - 동일한 과세당국이 동일한 과세대상기업에 법인세를 부과하는 경우